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프로필
  • 글쓰기
  • 관리자
  • 방문통계
  • 분류 전체보기 (49) N
    • 포토에세이 (12)
    • 로컬 탐방 (1) N
    • 조선십승지 우복동 이야기 (10)
    • 백두대간 트레킹 (2) N
    • 로컬 브랜딩 (5) N
    • 독서노트 (19) N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로컬브랜딩

  • AI·데이터로 완도 해양치유 브랜딩을 위한 마케팅 방안

    2025.05.16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 1004섬 신안의 컬러마케팅과 로컬브랜딩에 대한 소고

    2023.08.26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 신안군 인구소멸 대응전략 및 섬 국가정원 조성 전략 세미나

    2023.04.24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 공공 브랜드란 무엇인가_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컬 브랜딩

    2023.03.25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 <지역을 살리는 로컬 브랜딩>, 김영수 외

    2023.01.19 by 스토리그래퍼 구자룡

AI·데이터로 완도 해양치유 브랜딩을 위한 마케팅 방안

[완도 해양치유 활성화를 위한 공공브랜드 포럼]로컬 브랜딩도 데이터 분석과 AI를 활용해야 하는 시대이용객 빅데이터 분석으로 찾아낸 '치유 효과' 과학적으로 입증 필요생성형 AI 활용한 맞춤형 마케팅으로 경쟁 시대 선도자 입지 강화완도만의 차별화된 로컬 브랜딩이 해양치유산업 성공 열쇠완도군이 주최하고 한국공공브랜드진흥원이 주관한 '해양치유 완도' 브랜드 경쟁력 강화 포럼이 지난 2월 24일 완도문화예술의전당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은 완도해양치유산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해양치유 완도'라는 브랜드의 현황을 진단하고 대중화를 위한 홍보·마케팅 전략과 관광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완도해양치유센터, 대한민국 해양치유의 선도자 완도군은 10여 년 전부터..

로컬 브랜딩 2025. 5. 16. 22:17

1004섬 신안의 컬러마케팅과 로컬브랜딩에 대한 소고

글/사진 : 구자룡 (주)밸류바인 대표, 경영학박사 1004섬 신안을 가다 태풍 카눈이 한반도를 남에서 북으로 관통한 직후인 2023년 8월 11일 이른 아침. 전남 신안군의 마케팅과 브랜딩을 연구하기 위해 목포로 가는 KTX를 탔다. 태풍의 영향으로 여러 고민이 있었지만 벤치마킹을 하고자 오래전부터 준비한 강원 영월군의 관광문화정책자문회의 일정은 예정대로 진행되어 참여하기 위해서다. 영월군에서 최명서 군수, 정대권 문화관광체육과장을 포함하여 20여 명, 그리고 김병희(서원대 교수), 전영철(상지대 교수) 공동위원장을 포함하여 자문위원 10여 명으로 총 30여 명이 참여했다. 신안군 고향사랑지원과 민간협력팀장(최미현)의 안내와 설명으로 신안의 주요 지역 마케팅 장소를 탐방하고 로컬 브랜딩 활동에 대한 이..

로컬 브랜딩 2023. 8. 26. 11:34

신안군 인구소멸 대응전략 및 섬 국가정원 조성 전략 세미나

한국공공브랜드진흥원(한공원) 주최, 퍼플섬으로 유명한 신안군의 문화예술행정에 대한 특별 세미나가 열렸다. 2023년 4월 10일 월요일 오후 2시~5시.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 1004섬 신안군의 지역경제 활성화 그리고 로컬브랜딩을 위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제5주제는 유관숙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가든스테이 환경연출 감독이 "보는 정원에서 사는 정원으로: 신안군 장소 마케팅의 방향과 과제"라는 내용으로 발제를 하고 이에 대해 토론자(밸류바인 구자룡)로 참석했다. ▶ 토론문(정원산업에 대한 밸류바인 구자룡의 토론) 신안군 인구소멸 대응전략 세미나 [제5주제] 보는 정원에서 사는 정원으로: 신안군 장소 마케팅의 방향과 과제 발제 : 유관숙 (순천정원박람회 감독) 토론 : 구자룡(밸류바인 대표..

로컬 브랜딩 2023. 4. 24. 00:24

공공 브랜드란 무엇인가_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컬 브랜딩

, 김유경 , 김유신 , 김태환 , 이준호 , 임대근 , 김주호 , 김은용 , 조재형 , 박재항 , 구자룡 , 김병희 , 이희복, 한경사, 2023. 공공 브랜드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12명의 저자들이 힘을 합쳐 를 출간했다. 저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컬 브랜딩"이란 주제로 로컬에 가치를 담는 방법을 기술했다. 공공 브랜드와 로컬 브랜드, 그리고 로컬 브랜딩으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 각 장의 주제와 저자는 다음과 같다.1장. 공공 브랜드의 철학과 개념(한국외국어대 김유경 교수, 부산대 김유신 교수)2장. 강대국 경쟁시대의 국가 브랜딩과 공공외교(국립외교원 김태환 교수)3장. 공공 조직경영과 브랜드관리(호서대 이준호 교수)4장. 공공 브랜드와 문화 콘텐츠의 사..

로컬 브랜딩 2023. 3. 25. 22:31

<지역을 살리는 로컬 브랜딩>, 김영수 외

지역을 살리는 로컬 브랜딩, 김영수, 정의홍, 김우현, 이성일 저, 클라우드나인, 2018. 로컬을 브랜드화하거나 새로운 로컬 브랜드로 리포지셔닝 할 때는 항상 그 브랜드 가치 내지 브랜드 정체성이 새로운가(new), 경쟁 로컬과 다른가(different), 그 로컬이 가지고 있는 역량과 자원이 지속가능한가(sustainable), 그리고 고객들에게 타당한가(relevant)를 점검해 보아야 한다. 이 책에는 기업 브랜딩과 도시 브랜딩에 참여했던 저자들의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제시한 사례에는 실제 수행한 프로젝트도 있다. 브랜딩과 마케팅에 대한 이해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지만 처음 브랜딩을 접하는 사람들은 전문용어 때문에 독서가 힘들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만약 로컬에..

독서노트 2023. 1. 19. 00:3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Profile
스토리그래퍼의 뜻밖의 발견 © 2025. KOOJARYONG. All rights reserved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